환경

모두가 꿈꾸는 내일을 위해
환경을 생각합니다.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발굴 및 개선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인류가 풍요롭고
편리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친환경 경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경영 및
탄소저감 활동

친환경 경영 및 탄소저감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합니다.

친환경은 기업 경영에 있어서 필수이자 표준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탄소 감축 목표가 강화되고, 탄소 규제는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삼양사는 글로벌 환경 트렌드를 분석하여 친환경 경영 비전 및 세부방침을 구축하고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로드맵을 도출하며 친환경 경영 및 탄소저감 활동을 수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친환경 경영

ESG의 핵심요소로 환경경영이 부각되면서, 기업의 환경경영 역량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내외 투자기관, 시민사회 등의 압력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삼양사는 생활을 풍요롭고 편리하게 하는 기업활동을 통해 인류의 풍요로운 삶과 지구 환경보전에 이바지하며 장기적으로 H&W, 친환경 첨단소재 중심의 스페셜티 소재 사업자가 되고자 합니다.

지구
환경보전에
기여

  • 기후변화 대응

    2030년 온실가스 20% 감축
    2050년 탄소중립
  • 순환경제 실현

    순환경제 관리체계 고도화
    순환경제 관련 마케팅
    연계 강화

친환경 방침

삼양사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지속해서 개선하여 깨끗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인간의 생활을 건강하고 풍요롭게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국내 환경 관련 법규 및 회사에 관련된 기타 요구사항과 회사가 정한 환경 관련 규정을 성실히 준수한다.

청정기술 개발 또는 공정을 지속해서 개선하여 오염방지 활동에 주력한다.

자원과 에너지 절감활동을 통하여 천연자원 보존에 노력하고,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을 증대한다.

공정에서 누출, 화재 등 잠재적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환경사고 예방활동에 전력한다.

환경유해물질 및 설비를 철저히 관리하여 환경오염을 줄인다.

전사원 및 협력업체에 대한 교육, 훈련을 통해 환경사고 예방 및 환경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킨다.

환경을 고려한 원재료 조달

  • 녹색 구매

    삼양사는 환경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구매 초기 단계에서부터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는 저탄소 친환경 녹색구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지속가능한 팜유

    삼양사는 팜유 생산지에 대한 환경 파괴와 노동인권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RSPO(Roundtable on Sustainable Palm Oil) 협회에 정식회원으로 가입하여 적법한 절차에 따라 생산한 팜유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 지속가능 경영구매

    삼양사는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책임을 인식하고, 회사의 지속가능 경영방침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 개발

삼양사는 코스메틱 사업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삼양사 코스메틱 사업부의 화장품 브랜드 ‘어바웃미(About Me)’는 생산 및 사용 과정에서 지구 환경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한 화장품을 의미하는 ‘클린 뷰티’ 컨셉으로 브랜드를 리뉴얼 하였습니다. 제품의 포장재는 표백 처리를 하지않고 생분해가 가능한 사탕수수 종이와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 인증을 받은 종이를 사용하며, 콩기름 잉크로 겉면을 인쇄해 환경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 분리 배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제거가 편한 라벨을 사용하고, 친환경 부자재를 사용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 관리

국내를 포함한 세계 주요국이 2050년 탄소 중립(Net Zero)을 선언하였으며, 국제사회의 협정에 따른 각 국가별 중장기 탄소 감축 목표를 발표하였습니다. 삼양사는 글로벌 사회의 책임감 있는 구성원으로서 전 세계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인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 2050 로드맵
  • 20% 감축

    (2030년)
  • 50% 감축

    (2040년)
  • 100% 감축

    (2050년)
  • 재생에너지
    전환

  • 적극적인
    탄소배출 감축

    활동

  • 에너지
    효율 개선

  • 친환경
    제품 개발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단위: tCO2eq)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테이블
구분 2019 2020 2021
직접 배출량(Scope 1) 186,933 195,323 176,895
간접 배출량(Scope 2) 108,211 109,323 115,268
배출량 합계 295,133 304,634 292,151
제품 생산량 1,211,251톤 1,231,893톤 1,249,669톤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0.24톤/tCO2eq 0.25톤/tCO2eq 0.23톤/tCO2eq
온실가스 감축량 (전기대비) -6,844 -9,500 12,482

*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 기준으로 배출처별 합계는 단위절삭의 합으로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단위: 톤)

  • 2019년 : 먼지 37톤, NOx(질소산화물) 24톤, SOx(황산화물) 34톤
  • 2020년 : 먼지 34톤, NOx(질소산화물) 26톤, SOx(황산화물) 21톤
  • 2021년 : 먼지 36톤, NOx(질소산화물) 28톤, SOx(황산화물) 17톤

* 전체 10개 사업장 중 울산1,2, 인천1,2, 전주EP, 아산, 본사(종로) 데이터 집계

기후변화 대응 활동

삼양사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 및 기회 요소를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삼양사에 가장 중대한 재무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와 기회요소를 선정하여 관리하고자 합니다.
폭염, 강풍 등 심각한 기후 이벤트로 인한 물리적 기후 위험이 발생 시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 되어 신속한 대응 및 빠른 사업 복구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각 사업장은 리스크 대비를 위한 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며, 자연재해와 관련된 특약이 신청되어 복구비용이나 피해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기후 위험 대응 체계

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관련법규 대응체계를 구축합니다.

급증한 폐자원의 순환에 대한 요구와 화학물질 사용 및 처리에 관한 법률이 다양해지고 강화됨에 따라
기업의 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삼양사는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와
분리배출, 배출량 최소화를 통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화학물질 관련법규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관리

  • 폐기물 처리 프로세스

    삼양사는 공장의 모든 활동을 통하여 발생되는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폐기물 발생량의 감소 및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업장별 폐기물관리규정을 수립하여 폐기물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폐기물 배출 저감 활동

    삼양사는 사업장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재활용 및 재사용 등의 개선 노력을 통해 근본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발생량 통계

(단위: 톤)

폐기물 발생량 통계 테이블
구분 2019 2020 2021
지정폐기물 재활용 939 915 384
소각 338 190 230
매립 3 5 0
기타 0 0 1
소계 1,280 1,110 615
일반폐기물 재활용 25,526 27,253 30,119
소각 1,226 939 1,072
매립 634 1,577 723
기타 42 24 36
소계 27,431 29,795 31,955
폐기물 재활용량 26,465 28,167 30,503
폐기물 총발생량 28,711 30,905 32,570

유해화학물질 관리

  • 화학물질 관리 체계

    삼양사는 각 사업장에서 유해화학물질관리규정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유해화학물질을 취급(저장, 수송 등)하여 유해화학물질이 환경에 미치는 위험성을 관리합니다.
  • 화학물질 규제 대응

    삼양사는 회사의 제품 정보를 대외적으로 공개하는 중요한 자료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를 법에 의거해 작성하여 비치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관리

능동적인 에너지 절감활동을 수행하여
사회적 요구에 대응합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 및 석유, 석탄 등의 기존 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각 사업장별로 능동적인 에너지 절감활동을 수행하고,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을 검토하며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삼양사는 사업장별 에너지 현황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개발한 자체 온실가스 관리시스템에서 에너지 목표량, 사용량 데이터 관리 또한 가능하여 연간 단위로 공장별 에너지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사업장별 특성에 부합하는 대응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능동적 에너지 절감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에너지 사용량 관리

(단위: TJ)

에너지 사용량 관리 테이블
구분 2019 2020 2021
연료 사용량 2,084 2,121 2,168
전기 사용량 2,137 2,158 2,307
스팀 사용량 1,717 1,747 1,788
총 사용량 5,929 6,015 6,252
제품 생산량 1,211,251톤 1,231,893톤 1,249,669톤
에너지 절감량 278 -86 -237
에너지 사용량 원단위 0.0049 0.0048 0.005

수자원 관리

지속적인 수자원 관리를 통해
글로벌 수자원 이슈에 대응합니다.

삼양사는 사업장 중 중대한 Water stress 지역에서 취수하는 곳은 없습니다. 삼양사는 주요 사업분야인
식품 및 화학 특성상 용수 사용량이 많아 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강화된 사내환경관리기준을 수립하여 운영함으로써 정부 규제에 따른 수자원 리스크를 대비하는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 용수 사용 및 재활용

    삼양사는 글로벌 수자원 이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방류되는 폐수량과 유입되는 용수량을 절감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시행합니다.
  • 폐수 및 수질오염 관리

    삼양사는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법적 배출허용기준 수준을 지키기 위해 수질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사내 운영기준을 법적 허용 기준보다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용수 사용량 통계

(단위: 톤)

용수 사용량 통계
구분 2019 2020 2021
용수 소비량 4,676,811 4,368,374 4,489,916
원단위 소비량 (제품 생산량 대비) 3.9 3.5 3.6
재생/재활용 용수 총량 189,085 202,102 182,467
용수 재활용/재이용률 4% 5% 4%

* 전체 10개 사업장 중 울산1, 2, 인천1, 2, 전주EP, 아산, 본사(종로) 데이터 집계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단위: 톤)

  • 2019년 : BOD 48톤, COD 143톤, SS 37톤, T-N 30톤, T-P 4톤
  • 2020년 : BOD 50톤, COD 140톤, SS 49톤, T-N 32톤, T-P 3톤
  • 2021년 : BOD 20톤, COD 110톤, SS 35톤, T-N 75톤, T-P 8톤

* 전체 10개 사업장 중 울산1, 2, 인천1, 2, 전주EP, 아산, 본사(종로) 데이터 집계

문의하기
TOP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23.01.05